반응형
과메기’ 명칭의 어원은 관목청어(貫目靑魚)이며, 청어의 눈을 나무꼬챙이로 꿰어 말렸다는 ‘관목’에서 유래한다.
‘목’을 구룡포 방언(方言)으로 ‘메기’라고 발음하여 ‘관목’이 ‘관메기’로 변하고 다시 ‘과메기’로 굳어졌다고 한다. 원래 과메기는 청어로 만든 음식이였습니다. 광복 즈음 우리나라 근해에 청어가 사라집니다. 1971년 잠시 풍어를 보였을 뿐 현재까지도 청어는 잘 잡히지 않으니 청어를 말리는 일도 사라집니다.
청어가 사라지자 대체재로 꽁치 과메기가 등장합니다. 구룡포 사람들은 1960년대부터 꽁치 과메기를 먹었다고 하고, 죽도시장 사람들도 그 즈음일 것이라고만 할 뿐 정확하게 고증하는 이는 없습니다.
꽁치도 청어만큼 겨울의 포항에서 많이 잡혔던 생선입니다. 과메기(여기서부터 과메기는 꽁치 과메기만을 뜻한다)는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 시작하는 11월 중순부터 날씨가 풀리는 설날 전후까지 말리는 것이 ‘원칙’ 입니다.
과메기의 맛을 보면, 단순히 꽁치를 말린 것은 아니다. 밤낮의 일교차에 의해 얼었다 녹았다 하면서 보름 정도 숙성한 음식이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보통의 경우 지방질이나 단백질은 공기중에 장기간 두면 산패를 하게 되는데, 꽁치는 껍질이 막처럼 살을 싸고 있어 산패 없이 숙성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찬바람이 부는 12월 초, 손과 귀가 차가워지는 12월이 되면 과메기가 그립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