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영

우리나라 경제학 3대 계파 : 서강학파, 조순학파, 학현학파

by 지식노트 2025. 4. 19.
반응형

한국 경제정책과 학계에는 뚜렷한 색채와 인맥을 가진 3대 경제학 계파가 있습니다. 이들은 각기 다른 학문적 배경과 정책 철학, 그리고 제자 그룹을 통해 우리나라 경제발전과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 서강학파

유래

  • 1960년대 미국에서 신고전학파 경제학을 공부한 신진 학자들이 귀국 후 서강대학교 경제학부를 중심으로 형성
  • 대표적 인물: 남덕우(전 국무총리), 이승윤·김만제(전 경제부총리), 김광두(전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등13

특징

  • 시장경제와 성장 우선주의, 실사구시적·관리형 경제정책
  • ‘선(先)성장 후(後)분배’ 노선, 수출주도·중화학공업 중심의 개발전략
  • 경제이론을 실제 정책에 적극적으로 구현,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등 주도13

주요 보직 및 정책 영향

  • 박정희 정부 시절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출확대, 중화학공업화 정책 설계 및 집행
  • 남덕우: 경제부총리, 국무총리 역임
  • 이승윤·김만제: 경제부총리
  •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고도성장기 경제정책의 주역13

2. 조순학파

유래

  • ‘한국의 케인스’로 불리는 조순 전 경제부총리(서울대 교수)를 따르는 제자 그룹
  • 대표적 인물: 조순(전 경제부총리, 전 서울시장), 정운찬(전 총리), 좌승희(박정희기념재단 이사장), 김상조(전 공정거래위원장) 등1245

특징

  • 케인스주의, 정부의 시장 개입 필요성 강조
  • 성장과 분배의 균형, 동반성장, 자유주의 이념
  • 이념적 스펙트럼이 넓고, 글로벌한 시각을 지닌 학자들이 많음
  • 시장경제의 한계와 불균형 성장에 대한 비판적 시각245

주요 보직 및 정책 영향

  • 조순: 경제부총리, 경제기획원 장관, 한국은행 총재, 서울시장 역임
  • 정운찬: 총리, 서울대 총장
  •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 성장 일변도의 경제정책에 균형·안정·분배를 강조, 정부의 적극적 역할 주장45

3. 학현학파

유래

  • 변형윤(아호: 학현) 서울대 명예교수를 따르는 진보·개혁 성향의 경제학자 그룹
  • 대표적 인물: 변형윤, 김태동, 이정우, 홍장표(전 청와대 정책수석), 고(故) 김수행 등123

특징

  • 분배와 경제민주화, 평등·정의 중시
  • 주류 경제학에 비판적, 마르크스 경제학 등 다양한 이론 수용
  • 불평등한 경제구조의 역사적·구조적 원인 분석
  • 진보적 정책, 경제민주화, 소득주도 성장론 등 이론적 배경 제공123

주요 보직 및 정책 영향

  •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에서 분배·복지·경제민주화 정책에 이론적 기초 제공
  • 홍장표: 청와대 정책수석(소득주도 성장 정책 주도)
  • 이정우: 대통령 정책실장
  • 진보·개혁적 경제정책의 싱크탱크 역할, 소득주도 성장, 노동·복지 강화 정책에 영향123

표로 정리

계파명유래/형성대표 인물특징/철학주요 보직·정책 영향
서강학파 서강대, 미국 신고전학파 남덕우, 이승윤, 김만제, 김광두 시장경제, 성장우선, 실사구시, 선성장후분배 경제개발 5개년계획, 중화학공업, 수출주도
조순학파 조순(서울대), 케인스주의 조순, 정운찬, 좌승희, 김상조 케인스주의, 균형·안정·분배, 정부역할 강조 경제부총리, 총리, 공정거래위원장, 분배정책
학현학파 변형윤(서울대), 진보성향 변형윤, 김태동, 이정우, 홍장표 분배·평등·경제민주화, 주류 비판, 진보적 정책 소득주도성장, 경제민주화, 복지·노동 정책
 

결론

서강학파는 성장과 시장 중심, 조순학파는 균형과 정부개입, 학현학파는 분배와 경제민주화를 각각 대표하며, 이들 3대 계파는 한국 경제정책과 학계의 흐름을 이끌어왔습니다. 각 계파의 인맥과 철학, 그리고 실제 정책 집행 경험은 오늘날까지도 우리 경제정책의 중요한 뿌리로 남아 있습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