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ympic의 Symbol인 오륜기(五輪旗/Olympic Flag)에는 Asia, Africa, Europe, America, Oceania 등 5대륙을 담고 있다. 대륙과 섬을 구별하는 기준은 Oceania보다 땅이 넓으면 대륙(Land)이며 작으면 섬(Island)이다.
이 중에서 America(면적 4,208만km²)는 세계 육지의 31%를 차지하는 큰 대륙이다. 이탈리아 탐험 ‘Amerigo Vespuci’의 저서 <신세계(Mundus Novus)>를 근거로 1507년, 독일 지리학자 ‘Martin Waldsemuller’의 저서 ‘세계지리입문 Cosnographiae introductio)>에서 America라는 기록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아메리고의 땅(Land of Amerigo)’이란 뜻이다.
America는 문화적으로 Anglo America와 Latin America로 구분한다. Anglo America는 Anglo Saxon 족에서 나왔으며 Latin America는 이탈리아 라티움(Latium) 지방에 살았던 라티니(Latini)족에서 유래했다.
America 대륙에는 세계 초일류 대 강국인 미합중국(United States of America)이 있다. 3억 4,181만 명의 인구가 면적 983만km²의 50개 주에 살고 있다.
1607년 영국이 제임스강 연안에 식민지를 조성한 이후 영국의 식민 상태였다가 1775년 미국독립혁명 후 1776년 독립을 선언, 1783년 파리조약에서 독립이 승인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군사·정치·경제적으로 다인종·다민족 초강대국이다.
우리나라와 국가안보와 경제협력의 최대, 최강 동맹국인 미합중국(United States of America)의 50개 주 이름의 유래에 관해서 무관심해 왔다. 그래서 미국의 50개 주 이름의 유래를 살펴보았다.

*네바다(Nevada)
Espana 語로 ‘눈(雪)으로 덮인 산(Snowy mountains)’이란 뜻이다.
눈은 많이 오지만 비(雨)가 잘 오지 않는 건조한 땅이다.
*네브래스카(Nebraska) ‘넓고 평평한 강(Broad river), 잔잔한 수면(Flat water)’을 뜻하는 오마하 인디언(Omaha Indian) 語 ‘니브다트카(Nibdhathka)’에서 유래했다.
*뉴멕시코(New Mexico)
멕시코와의 전쟁(1846〜1848)에서 승리하여 빼앗은 땅이다. 아즈텍(Aztec)족의 군신(軍神)인 멕시틀리(Mexitli)에서 유래하였다.
*뉴욕(New York)
요크 공작(Duke of York) 이던 제임스 2세(James II)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뉴저지(New Jersey)
영국 해협(English Channel) 부근에 있는 채널 제도(Charnel Is.)의 부속 섬인
저지섬(Jersey I.)에서 유래했다.
*뉴햄프셔(New Hampshire) 영국 햄프셔(Hampshire)州 이름에서 왔다.
*노스다코타(North Dakota)/사우스다코타(South Dakota)
동맹자(Allies), 친구(Friend)라는 뜻을 가진 다코타 인디언(Dakota Indian) 부족의 명칭에서 유래했다. 다코다의 원래 명칭은 다코르타(Dacorta)이다.
노스다코타(North Dakota)주와 사우스다코타(South Dakota)주가 있다.
*델라웨어(Delaware)
1610년, 버지니아 주지사인 ‘드라워 남작(Baron De La Warr)’인 ‘토머스 웨스트(Thomas West)’에서 유래했다.
*로드아일랜드(Rhode Island)
1524년 이탈리아 탐험가 베라자노(Giovanni da Verrazzano)가 그리스의 로도스섬 (Rodhos I.)과 크기가 비슷하다고 해서 명명했다 후에 네덜란드 정착민들이 흙이 붉다고 하여 로데(Rode)라고 불렀다. 면적이 3,2OOkm²로 미국에서 가장 작은 주이다.
*루이지애나(Louisiana) 프랑스 탐험가 라살(Robert Cavelier de La Salle)이 당시 프랑스 왕인 루이 14세(Louis XIV)를 기념해서 명명했다.
*매사추세츠(Massachusetts)
‘거대한 산이 있는 곳(great mountain place)’을 뜻하는 나티크 인디언(Natick Indian)語 ‘마사수세트(masasuset)’에서 유래했다.
*메릴랜드(Maryland)
찰스 2세(Charles II )의 왕비이며 프랑스 앙리 4세(Henry IV)의 딸 이름인 ‘앙리에타 마리아(Henrietta Maria)’에서 유래했다.
*메인(Maine)
뉴 잉글랜드의 본토(Mainland of New England)란 뜻이다.
*몬태나(Montana)
에스파냐어로 산악 지대(Mountainous)를 뜻한다.
*미네소타(Minnesota)
‘푸른 물(Green-water), 하늘빛 물(Sky-tinted water)’을 뜻한다.
다코타 인디언(Dakota Indian)語 ‘미니소타(minnisotah)’에서 유래했다.
*미시간(Michigan)
거대한 호수(Great lake) 또는 큰 물(Large body of water)을 뜻한다.
인디언어 ‘미시가미(Michigami)’에서 유래했다.
*미시시피(Mississippi)
알곤킨 인디언(Algonkin Indian)어로 ‘물의 아버지(Father of the waters)’ 또는 ‘큰
강(Great river)‘을 뜻하는 ’미트시시트피(Mitsisitpi)‘에서 유래했다.
*미주리(Missouri)
‘카누의 고장 (Home of the large canoes)’이란 뜻이다.
미주리 인디언 (Missouri Indian)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버몬트(Vermont)
프랑스어로 ‘푸른 산(Green moutain)’이란 뜻이다.
*버지니아(Virginia)/웨스트 버지니아주
월터 로리(Walter Raleigh)가 발견할 당시 영국의 처녀(處女/Virgin) 여왕, 엘리자베스 1세(Elizabeth I,Virgin Queen)를 기리는 뜻에서 명명했다.
버지니아주와 웨스트 버지니아주 등 2개의 버지니아주가 있다.
*아이다호(Idaho)
코이와 아파치(Kiowa Apaches)족이 코만치 인디언(Conunche Indian)을 에다호에(Edah hoe)라고 부른 데서 유래했다. 에다호에는 ‘산의 보석(Gern of mountains) 또는 물고기를 먹는 사람(Fish eaters)’이란 뜻이다. 쇼쇼니 인디언(Shoshoni Indian)語로 ‘해가 뜬다(Sunup) 또는 지는 해를 잡아라(Behold the sun comkig down the mountain)’란 뜻의 ‘이다호(Ee dah how)’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아이오와(Iowa)
아름다운 땅(Beautiftil land)을 뜻하는 인디언어 ‘아유바(Ayuhba)’에서 유래했다.
*아칸소(Arkansas)
수족 인디언(Siou Indian)어로 강물 아래쪽에 사는 ‘하류(下流)의 사람(Downstream men)’을 뜻하는 ‘아칸사(Acansa)’에서 유래했다. 콰포(Quapaw)족 언어인 아켄제아(Akenzea)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다
*알래스카(Alaska)
원주민 알류트(Aleut)족의 언어로 ‘넓은 땅(Great land) 또는 바다가 끝나는 곳
(End of the sea)‘을 뜻하는 ’알라크스카크(Alakhskhakh)‘에서 유래했다.
*애리조나(Arizona)
파파고 인디 언(Papago Indian)語로 ‘작은 샘 (Little spring)’을 뜻하는 ‘아리조나크
(Arizonac)‘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건조한 땅(Dry land)‘이란 에스파냐語 ’아리다존나(Aridazona)‘에서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앨라바마(Alabama)
촉토 인디언(Choctaw Indian)語이다. ‘식물 채집인(Vegetation gatherers) 또는 덤
불 청소인 (Thicket clearers)‘이란 뜻이다.
*오리건(Oregon)
쇼쇼니 인디언(Shoshoni Indian)語로 ‘풍요로운 땅(Place of plenty)’을 뜻하는
‘오예르언곤(Oyerungon)’에서 유래했다. ‘태풍(Hurricane) 또는 마른 사과 조각(Piece of dried apple)’을 뜻한다는 주장도 있다.
*오클라호마(Oklahoma)
촉토 인디언語로 ‘붉은 사람(Red people)’을 뜻한다.
*오하이오(Ohio) 큰 강(Great river), 주류(Principal stream)란 인디언語다.
*와이오밍(Wyoming)
델라웨어 인디언(Delaware Indian)語로 ‘넓은 평야(Extensive plain) 또는 산과
계곡이 만나는 곳(Moutains and valleys alternating)’이란 뜻이다.
*워싱턴(Washington)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을 기념하여 붙인 이름이다. 이 지역에 살았
던 인디언 부족의 이름을 따서 ‘치누크(Chinook)주’라고도 부른다.
*위스콘신(Wisconsin)
인디언語 ‘오유스콘신(Ouisconsin)’에서 유래했다.
‘급류(急流)의 수로(Wild rushing chamel)’를 뜻한다.
*유타(Utah)
‘산(山) 사람(People of the moutains)’을 뜻한다. 유테(Ute) 부족 이름에서 왔다.
*인디애나(Indiana)
‘인디언의 땅(Land of Indians)’이라는 이름이다.
*일리노이(Illinois)
‘우월한 종족(Tribe of superier men)’ 또는 ‘완전무결한 사람(Perfect and accom-
plished men)‘을 뜻하는 ’이니니 인디언(Inini Indian)부족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사람(Men)‘을 뜻하는 인디언어 ’일리니(Illini)와 접미사 ‘Ois’의 합성어‘로 부족(Tribe) 또는 집단(Band of men)을 뜻한다는 설이 있다.
*조지아(Georgia)
이 지역을 식민지로 만든 ‘제임스 오글레소프(James Oglethorpe)’가 당시 영국 왕
조지 2세(George II)를 기념해서 명명했다.
*노스캐롤라이나(North Carolina)/사우스 캐롤라이나(South Carolina)
영국 왕 ‘찰스 1세(Charles I)’를 기념해서 명명한 이름이다. 라틴어로 ‘찰스의 땅(Land of Charles)’이란 뜻이다. 노스 캐롤라이나(North Carolina)주, 사우스 캐롤라이나(South Carolina)주가 있다.
*캔사스(Kansas)
‘남풍의 사람(People of the south wind)’을 뜻하는 수족 인디언語 ‘칸사(Kansa)’에서 유래했다.
*켄터키(Kentucky)
‘내일의 땅(Land of tomorrow)’을 뜻하는 이로쿼이 인디언(Iroquoi Indian)語
‘켄타텐(Kentahten)’에서 유래했다.
*캘리포니아(California)
‘밝고 따뜻한 땅(Bright and warm land)’이란 설과 ‘뜨거운 화덕 (Hot furmace)’을
뜻하는 Espania語 ‘칼리엔테 포르날라(caliente fomalla)’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그리고 그리스 신화의 ‘칼리피아(Calipto) 여왕’이 통치했다고 전해 오는 전설의 섬에서 유래하였다는 설도 있다.
*코네티컷(Connecticut)
감조하천 유역(Beside the long tidal river)이란 뜻의 인디언語 ‘퀸네투크트(Quinnehhikqut)’에서 유래했다. 감조하천(感潮河川, Tidal river)이란 하구 또는 하천의 하류에서 조석의 영향을 받아 하천의 염분, 수위,유속에 주기적으로 변화를 일으키는 하천이다.
*콜로라도(Colorado)
에스파냐어로 ‘붉다(Red or Reddy)’란 뜻이다. 콜로라도 강에서 유래했다.
*테네시(Tennessee)
체로키 인디언(Cherokee Indian)의 마을 이름인 ‘타나시(Tanasi)’에서 유래했다.
*텍사스(Texas)
‘친구(Friend)’를 뜻하는 카도 인디언(Caddo Indian)語 ‘티오아(Tyoa)’에서 유래했다.
*펜실베이니아(Pennsylvania)
1681년, 영국왕 찰스 2세(Charles II)가 퀘이크 교도인 윌리엄 펜(William
Penn)에게 이 땅을 하사(下賜)했다. 윌리엄 펜이 자기 아버지 ‘윌리엄 펜 제독(Admiral Wiliam Penn)’을 기념하여 명명했다. 찰스 2세는 윌리엄 펜 제독에게 많은 빚을 지고 있었기 때문에 빚 대신에 그의 아들에게 땅을 주었다고 전한다. 펜실베이니아는 ‘펜의 삼림지(Penn’s woodland)‘란 뜻이다.
*플로리다(Florida)
1513년, 에스파냐의 탐험가 ‘폰세 데 레온(Ponce de Iwn)’이 예수가 예루살렘에
입성한 날인 종려 주일(Palm Sunday)에 발견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에스파냐에서는 종려 주일을 꽃의 주일이라고 부른다. 플로리다는 꽃의 주일(Sunday of flower) 또는 꽃의 축일(Feast of flower)이라는 뜻이다.
*하와이(Hawaii)
하와이 섬을 처음 발견한 ‘하와이 로아(Hawaii Loa)’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이 섬에 정착한 폴리네시아인들의 고향인 신비의 땅 ‘하와이카(Hawaiki)’에서 유래했다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예전에 미국 주요 도시에 자주 출장을 다녀 온 적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안해와 함께 미국 여행을 다녀왔지만 “州 이름이 그저 그런가 보다”라며 무심코 지나쳐 왔다.
최근에 호기심이 발동해서 미국 50여 개주 이름의 유래를 뒤늦게 알고 나니 좀 쑥스럽고 민망(憫惘)하다. 이어서 미국의 주요 도시 이름에 관해서도 살펴보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