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3 조령(鳥嶺) — 조령 남쪽 땅, 영남(嶺南) ㅁ조령, 중부 내륙의 관문조령(鳥嶺)은 오늘날 충청북도 괴산군과 경상북도 문경시의 경계에 위치한 고개로, 해발 약 642m에 이른다. 소백산맥의 일부로, 조선시대에는 한양과 영남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육상로의 관문 역할을 했다.이 조령을 넘는 고개길이 바로 ‘문경새재’이며, 여기에 설치된 1·2·3관문은 국방적 목적과 출입 통제 기능을 수행했다. 조령은 행정적으로는 경상도와 충청도의 경계이자, 지리적으로는 영남(嶺南)과 기호(畿湖) 지역을 나누는 기준선으로 인식되었다.ㅁ영남의 지리적·행정적 기원‘영남(嶺南)’이라는 명칭은 문자 그대로 ‘조령(嶺) 남쪽’ 지역을 의미한다. 조령을 기준으로 남쪽에 위치한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일대가 그 범주에 포함된다. 영남이라는 지역 구분은 조선 초기 팔도체제 확립과 함께 .. 2025. 4. 8. [먹자골목 시리즈] 25. 기장 연화리 해녀촌 부산은 제주에 이어 해녀들의 활동이 가장 왕성한 지역중 하나입니다. 남해안부터 동해안까지 뻗은 긴 해안선과 천혜의 자연환경으로 인해 풍부한 해산물, 그리고 대도시의 소비성이 삼박자를 잘 맞춰 해녀들이 활동하기 좋은 환경입니다. 부산은 1960~70년대 급격한 산업화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호남 지역과 제주 지역의 사람들이 부산으로 집단 이주해왔습니다. 특히 제주 사람들은 부산의 어업 및 조선 산업의 발달에 따른 이주의 규모가 컸습니다. 아시다시피 제주는 1970년대 당시만해도 관광 환경이 갖춰져있지 않았기 때문에 농업과 어업말고는 먹고 살길이 마땅치 않았습니다. 집단 이주를 한 제주 출신의 해녀들이 가족과 함께 부산에 정착하거나 부산에서 가정을 이루었는데 해안가에 전반적으로 골고루 자리를 잡았습니다. 현재.. 2022. 5. 7. [먹자골목 시리즈] 22. 부산 범천동 조방낙지골목 부산하면 낙곱새, 낙곱새하면 부산입니다. 부산에서도 낙곱새로 가장 유명한 동네, 부산 범일동 조방낙지골목입니다. 부산 범일역 10번 출구에 내려 50여미터 정도 골목 안으로 들어오면 먹자 골목이 펼쳐집니다. 젊은 관광객들과 부산 토박이들이 뒤섞여 낙지 가게에 앞서거니 들어가고 있습니다. 낙지는 옛부터 우리 선조들이 많이 즐기며 다양한 요리를 개발해온 음식재료입니다. 특히 정약용 정약전 형제의 낙지사랑은 대단했습니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도 맛이 달콤하고 회, 국, 포를 만들기 좋다고 한 것으로 서술되어 있으며 회, 숙회, 볶음, 탕, 산적, 전골, 초무침, 구이에서부터 다른 재료와 궁합을 이룬 갈낙(갈비살과 낙지), 낙새(낙지와 새우), 낙곱(낙지와 곱창)이 개발되었습니다. 다산 정약용은 라는 시에서 .. 2022. 3.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