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에게 지워지지 않는 낙인을 찍고, 죄의 꼬리표처럼 두고두고 비판하는 것을 '주홍글씨'를 새겼다라고 표현합니다. 여기서 주홍글씨란 어디서 유래한 말일까요?
‘주홍글씨’는 미국의 소설가이자 단편소설 작가 나대니얼 호손이 1850년에 발표한 장편소설 ‘주홍글씨(The Scarlet Letter)'에서 유래합니다. 소설 주홍글씨는 1600년대의 식민지 시대 미국 뉴잉글랜드 보스턴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야기입니다. 보스턴 청교도 마을에 사는 주인공 여자 주인공 헤스터 프린(Hester Prynne)은 영국에서 자기보다 훨씬 나이 많은 남편과 결혼했지만 남편이 약속대로 그녀를 따라 신대륙으로 오질 않자, 남편이 탄 배가 항해 중에 침몰했다고 믿습니다. 보스턴에서 헤스터는 어느 남자와 간통을 하여 임신을 하게 되고, 딸 펄을 낳습니다.
계율이 엄격한 청교도 사회에서 헤스터 프린은 마을에서 추방되고, 마을 주민 모두의 비난을 받습니다. 주인공 헤스터 프린(Hester Prynne)은 간통(Adultery)을 뜻하는 ‘A’라는 주홍 글씨를 황색 천에 자수를 놓아서 달고 다니게 하는 형벌도 받습니다. 사회적으로 큰 지탄과 역경을 겪으면서도 헤스터는 끝끝내 아이의 아버지를 밝히지 않고 딸 펄을 사랑으로 키웁니다. 또한 그녀는 죄를 용서받고자 마을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며 지냅니다.
반면에 간통 상대인 명망 높은 목사 아서 딤스데일(Arthur Dimmesdale)은 죄를 숨긴 채 죄책감에 시달리며 서서히 피폐해져 갑니다. 프린은 죄를 숨기지 않고 당당히 드러내며 자신의 죄를 타인을 위한 봉사를 통해 승화시키면서 살아갑니다. 그의 선한 진정성은 가슴에 달린 주홍 글씨 ‘A’의 의미가 간통을 뜻하는 A에서 마지막 순간에는 천사(Angel)를 뜻하는 ‘A’로 의미가 바뀌어갑니다.
우리가 요즘 말하는 '주홍글씨'는 이렇게 소설에서 헤스터 프린이 하고 다닌 주홍 글씨의 자수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소설 주홍글씨는 죄보다는 죄를 대하는 사람의 태도에 주목합니다. 주홍글씨도 처음에는 헤스터의 수치스러움과 소외감을 나타내는 표식이지만 궁극적으로는 그녀의 강인함과 고결함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변해갑니다. 사람은 누구나 죄를 짓습니다, 그것을 어떤 식으로 대하는 것이 그 사람의 본 모습을 나타낸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