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나라3

족하(足下)에서 조카로, 형제·자매 조카의 유래 형제 자매의 아들을 일컫는 조카라는 호칭은 중국의 춘추전국시대 개자추(介子推)라는 인물로부터 유래했습니다.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공자 중이(重耳)가 국외를 떠돌다 모국인 진나라에 19년 만에 돌아왔습니다. 중이는 마침내 왕위에 올라 진 문공(文公)이 되었습니다 중이는 왕위에 올라 그동안 자기를 도와준 공신(功臣)들에게 논공행상을 하던 와중 그만 개자추(介子推)를 빠뜨리고 말았습니다. 개자추는 진나라 문공이 외국에 도망다니며 야인처럼 낼 때 그에게 허벅다리살을 베어 먹이면서까지 지극정성으로 모시던 개국공신이였기 때문에, 논공행상에 빠진 것에 시름이 컸을 것입니다. 실망을 금치 못한 개자추는 어머니와 함께 야산에 들어가 은거하였고 개자추가 야산에 은거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문공은 개자추를 애타게 찾았지.. 2022. 3. 9.
완벽하다, 하자있다. 하나의 물건에서 유래했다? 흠잡을 데 없이 완전하다는 뜻의 ‘완벽(完璧)’과 그 반대되는 뜻인 ‘하자(瑕疵)’는 정반대의 의미이지만 사실은 하나의 물건으로부터 유래된 단어들입니다. 중국 춘추전국시대 최고의 외교가라 알려진 ‘인상여’가 이 두 단어와 깊게 연관되어 있죠. 기원전 3세기 중국 조나라 혜문왕은 귀한 보석, 화씨지벽을 손에 넣습니다 화씨지벽은 귀하고 거대한 옥구슬이자 희대의 보물입니다. 당시 조나라와 인접한 강대국 진나라는 화씨지벽과 조나라와의 전쟁에서 빼앗은 15개 성을 교환하자는 파격적인 제안을 합니다. 그러나 당시 진나라 왕이던 소양왕은 다른 국가와의 약속을 여러 번 파기한 바 있어 믿기 어려운 사람이였습니다. 조나라 조정은 화씨지벽을 주는 것에 대해 갑론을박하며 시간을 계속 보냈습니다. 후에 조나라 재상까지 오르는.. 2022. 2. 26.
이목지신(移木之信), 조직을 이끌어가는 보상 원칙 조직은 명확한 신상필벌이 필요합니다. 큰 조직일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이목지신의 고사를 함께 살펴보시죠. 이목지신(移木之信)은 '나무를 옮겨 믿음을 준다'는 뜻으로 '사기(史記) 상군열전(商君列專)'에 나오는 말입니다.기원전 300년경 전국시대 진나라의 명재상 상앙(상군)이 있었습니다. 상앙은 법치주의를 폈으며 법을 중심으로 한 부국강병책으로 진나라가 천하통일하는데 주춧돌을 놓은 시대의 위대한 참모였습니다. 어느 날 진나라 왕은 상앙에게 나라를 개혁할 새로운 법을 제정하도록 하였습니다. 상군은 가족법과 토지법, 도량형 통일법 등을 제정하여 백성들에게 선포하였으나, 백성들에게 너무 어려웠습니다. 당시 시대 분위기상 공명한 법체계로 국가를 운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였겠죠. 상앙은 묘수를 냅니다. 다음날 아침 .. 2021.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