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자2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태도, 불치하문(不恥下問) 우리나라와 같이 유교적 문화로 인해 위계와 연공서열이 사회문화에 굳건히 자리잡고 있는 나라에서, 아랫사람이나 후배에게 무엇을 물어본다는 것이 곤란할 때가 이따금식 존재합니다. 그럴 때마다 공자가 말했던 '불치하문(不恥下問)' 즉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는 태도를 생각합니다. 불치하문이라는 사자성어는 논어 공야장편(公冶長篇)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춘추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공어(孔圉)는 행실이 바르지 않고 욕심이 많은 소인배였습니다. 그는 부하인 태숙질을 부추겨 본처를 내쫓고 자기 딸을 아내로 삼도록 했는데, 이에 질린 태숙질이 송나라로 달아나자 공어는 딸을 데려와서 태숙질의 동생에게 아내로 맞도록 할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공어가 죽은 후 위왕은 그에게 공문자(孔文子)라는 시호를 추증하였.. 2023. 6. 29.
이 남자 참 쑥맥이네, 쑥맥은 콩과 보리이다 '남자가 참 숙맥(쑥맥)이다, 저렇게 숙맥(쑥맥)이면 결혼은 하겠어?' 주로 여성과 대화하거나 접근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남성들에게 쓰이는 이 숙맥(菽麥) 이라는 표현은 어디서 나온 말일까요? 숙맥의 뜻을 그대로 풀어보면 '콩과 보리'입니다. 콩 숙자와 보리 맥자이죠. 단어 사전에 숙맥을 검색해 보면 두 가지 뜻이 존재합니다. 첫번째는 콩과 보리, 두번째는 사리 분별을 못 하고 세상 물정을 잘 모르는 사람이라고 풀이가 되어 있습니다. 요즘은 사리 분별을 못하는 사람을 뜻하기 보다는 여성의 마음을 몰라주는 남성을 뜻하는 것으로 의미가 조금은 바뀌었습니다. 그렇다면 왜 숙맥에 그런 뜻이 생겨나게 된 것일까요? 숙맥은 숙맥불변(菽麥不辨)이라는 성어를 토대로 생겨난 말입니다. 중국 문헌인 춘추좌씨전(공자가 살.. 2022.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