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턱2 '기마이 있다, 기마이 좋다' 대구 경북에서 쓰는 '기마이'는 무슨 말일까? 경상도, 특히 대구 경북 지방에서는 '기마이 있다, 기마이 좋네, 기마이 냈네' 등의 표현을 자주 씁니다. 주위에서 누가 한 턱을 내거나, 호기롭게 계산을 잘하는 사람을 보고 일컫는 말입니다.기마이라는 단어를 보더라도 얼핏, '일본어에서 유래한 말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경상도 지방에서 변형된 일본어를 많이 써서 더욱 그런 기시감이 드는 것일수도 있습니다.다대기 (다진 양념), 사라(접시), 와리바시(나무젓가락), 소데나시(민소매), 다라이(대야), 이빠이(가득히), 요지(이쑤시개) 등 특히, 경상도 지방에서는 아직까지도 일본어가 혼용되곤 합니다.그렇다면 기마이는 과연 일본어에서 유래한 말일까요? 맞습니다. ‘기마이는 일본어 ‘키마에(氣前)’가 우리나라에서 기마이로 변한 단어입니다.'키마에는 .. 2025. 2. 3. 더치페이의 유래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친구들끼리 돈을 나눠낼 때, 전 국민이 '더치페이 하자' 라는 말을 우리말처럼 쓰곤 합니다.더치페이의 더치(Dutch)는 네덜란드의, 혹은 네덜란드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단어의 뜻에서 볼 수 있듯이 네덜란드에서 유래된 말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네덜란드 사람들은 우리 민족처럼 주위 친한 사람들에게 한턱 내는 것을 좋아하는 문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더치페이'는 '더치페이 트리트'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네덜란드의', '네덜란드인'을 뜻하는 '더치페이(Dutch)’와 '한턱내기' 또는 '대접'을 뜻하는 트리트(treat)가 합성된 이 말은 네덜란드에서 다른 사람을 대접하는 관습을 이르는 용어였습니다.그러던 와중 네덜란드는 당시 전세계로 뻗어나가던 영국과 17세기 아시아 지역에 대한 .. 2024. 7.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