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42

글을 퇴고하다, 퇴고(推敲)의 유래 퇴고(推敲)의 유래 鳥宿池邊樹 (조숙지변수) 새는 연못가 나무에서 잠들고 僧鼓月下門 (승고월하문) 스님은 달빛 어린 대문을 두드린다. 위의 시는 唐나라 시인 가도(賈島, 779~843)의 서경시(敍景詩)인데, 이 시의 "僧鼓月下門 (승고월하문)"은 원래 "僧推月下門(승퇴월하문)"이었습니다. "두드릴 고(鼓)"가 아니라 "문을 밀칠 퇴(推)"였습니다. 즉 [달빛 아래 문을 두드리는 스님]이 아니라 [달빛 아래 문을 밀치고 있는 스님]이었습니다. 시인 가도는 처음에 [僧推月下門 승퇴월하문]이라 써놓고 아무리 읊어보아도 마음에 들지 않아서 "문 밀칠 퇴(推)" 대신에 "문 두드릴 고(鼓)"로 바꾸어 보았습니다. 그래서 [僧鼓月下門 승고월하문]이라 읊어보니 괜찮기는 한데 웬지 아까 것인 [僧推月下門 승퇴월하문].. 2021. 11. 14.
구배지례(九拜之禮)를 올려라, 아홉 번 절하라는 뜻일까? '구배지례(九拜之禮)'나 '삼배지례(三拜之禮)'라는 개념은 '주례(周禮)'에서 나온 것입니다 무협소설에서는 흔히 "일배, 이배, 삼배......"등으로 표현하여 꼭 세 번이나 아홉 번 절한다는 의미로 쓰였다면, 보통의 경우 이는 잘못된 쓰임입니다. 구배지례의 원래의 의미는 아홉가지 종류로 나누어진 격식에 따른 인사 예법을 의미합니다. 계수(稽首),돈수(顿首),공수(空首),진공(振动),길배(吉拜),흉배(凶拜),기배(奇拜),포배(褒拜), 숙배(肅拜)가 바로 그 구배지례(九拜之禮)이고, 뒤의 여섯은 부수적인 예법이고, 그중에 주가 되는 예법인 앞의 계수(稽首),돈수(顿首),공수(空首)를 가리켜 삼배지례(三拜之禮) 또는 '삼중배례(三重拜禮)'라고 합니다. 삼배지례를 간단히 설명을 드리면, '계수(稽首)'는 군신.. 2021.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