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23 잠실은 한강의 섬이었고, 신천은 그 옆에 흐르던 천이었다? 조선 초기만 해도 지금의 잠실은 현재의 광진구 자양동과 붙어있는 강북지역이었습니다. 잠실은 상류의 많은 흙이 쓸려 내려와 땅이 비옥했습니다. 거름 없이도 뽕나무가 잘 자라 잠실(蠶室)로 지칭됐던 것입니다. 그런데 잠실 일대는 예로부터 홍수가 자주 나던 지대였습니다. 조선 중종 재임시절(1520년) 대홍수로 인하여 잠실 지역은 강북에서 떨어져 섬이 됩니다.이 샛강을 새로 생긴 하천이라 하여 새내, 신천이라고 불렀습니다. 수심도 별로 안 깊어 배 없이도 건널 수 있고, 비가 안 오면 거의 건천이 되어 걸어다닐 수 있었다고 합니다. 한강물이 넘쳐서 지류가 생겼는데, 이 샛강을 신천이라고 한다. 가물면 걸어서 건널 수 있고, 물이 불면 두 줄기 강물이 되어 저자도 아래에서 한 줄기로 합쳐진다. 중종 23년(15.. 2025. 2. 17. 결초보은(結草報恩)의 유래 결초보은(結草報恩),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고사입니다. 중국 춘추시대 진(晉)나라의 장수 위무자에게 젊은 첩이 있었습니다. 위무자는 죽을 병에 걸리자 아들 위과에게 “내가 죽은 뒤에 너의 계모를 다른 사람에게 시집보내라”라고 유언을 남겼습니다.그러나 병이 위독해서 죽을 날이 다가오자 마음이 약해진 위무자는 말을 바꾸어 "아내를 함께 무덤에 순장시켜 달라”고 했습니다. 위무자가 세상을 떠나자 위과는 “병이 위독하면 정신이 혼란스러워진다. 나는 아버지의 정신이 맑을 때 내린 명을 따르는 것이다”라며 젊은 계모를 다른 곳으로 시집 보냅니다.시간이 흘러 위과가 노나라를 공격했을 때 진(秦)나라가 개입하여, 진(晉), 진(秦) 나라 간 전쟁이 벌어졌습니다. 진(秦) 장수 두회(杜回)는 천하장사로 120근이나 되.. 2024. 12. 5. 더치페이의 유래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친구들끼리 돈을 나눠낼 때, 전 국민이 '더치페이 하자' 라는 말을 우리말처럼 쓰곤 합니다.더치페이의 더치(Dutch)는 네덜란드의, 혹은 네덜란드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단어의 뜻에서 볼 수 있듯이 네덜란드에서 유래된 말임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네덜란드 사람들은 우리 민족처럼 주위 친한 사람들에게 한턱 내는 것을 좋아하는 문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더치페이'는 '더치페이 트리트'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네덜란드의', '네덜란드인'을 뜻하는 '더치페이(Dutch)’와 '한턱내기' 또는 '대접'을 뜻하는 트리트(treat)가 합성된 이 말은 네덜란드에서 다른 사람을 대접하는 관습을 이르는 용어였습니다.그러던 와중 네덜란드는 당시 전세계로 뻗어나가던 영국과 17세기 아시아 지역에 대한 .. 2024. 7. 23. MBTI 테스트 유래와 설명, 특징, 장단점 □ MBTI 테스트란? 요즘 누군가를 처음 만나면 이름과 나이, MBTI 유형을 묻는다고 합니다. 모임에서 자기소개를 할 때 MBTI 유형을 밝히는 게 이제 자연스러워 졌습니다. 심지어 회사 면접 자리에서 MBTI 유형을 묻는 경우도 있고, 취준생들은 회사가 가장 선호하는 MBTI 유형으로 성격을 개조하겠다는 말까지 합니다. 몇 년 전부터 인기를 끌기 시작한 MBTI는 성격유형 검사로 8가지 지표를 조합해 성격을 알려 줍니다. 외향형(E)과 내향형(I), 감각형(S)과 직관형(N), 사고형(T)과 감정형(F), 판단형(J)과 인식형(P)입니다. 이 지표를 4가지 코드로 조합하면 모두 16가지 성격 유형이 나오게 됩니다.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약자 그대로 Myers.. 2023. 10. 10. 습하고 추운 반지하 집, 북한 때문에 만들어졌다고? 이걸 읽는 여러분은 반지하에 살아본 적 있으신가요? 반지하는 습하고 추우며, 곰팡이가 잘 피고 벌레가 많은 '못 사는 사람들의 거주지'입니다. 저도 대학교 시절 반지하 월세방에서 지냈던 기억이 떠오르네요. 보통 반지하가 한국에만 존재하는 독특한 거주시설이라고 알고 있지만 그렇지는 않습니다. 유럽엔 '수트레인(souterrain)'이라고 부르는 반지하가 있는데 습하고 추워서 사람 살 곳이 못 되는 극빈층들의 거주지입니다. 미국 뉴욕 등 대도시에도 이민자들이 사는 작은 창문이 달린 반지하 방이 실재합니다. 중국 주요 대도시의 지하 방, 일본의 오래된 아파트에도 반지하가 엄연히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반지하 주거지는 언제 생겨났을까요? 사실 방공호는 1970년대 남북체제 경쟁 속에서 생겨난 산물입니다. 1968.. 2023. 9. 20. 왜 13일의 금요일은 불운의 상징일까? 13일의 금요일(Friday the 13th)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세계적으로, 특히 서양 문화권에서는 13일의 금요일(Friday the 13th)은 불길하게 여기는 날로서 이 날은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믿는 미신적 요소를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습니다. 마치 동양 문화권에서 한국과 중국 등 한자 문화권에서는 숫자 사(四)와 죽을 사(死)가 똑같은 음을 내기에 꺼리는 것처럼 말이죠. 한국의 엘리베이터에는 4층 버튼을 4 대신 F라고 표기하는 일이 있으며, 병원에는 4층이 없어 3층 위가 5층인 곳이 많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양 문화권 엘리베이터에서 13층이 없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13일의 금요일의 기원설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것은 기독교에서 파생되었다는.. 2023. 5. 22. 게임에서의 너프와 버프, 어디서 나온 말일까? 버프(Buff)와 너프(Nerf). 온라인 게임에서 많이 사용되는 이 단어들은 어디서 시작이 된 말일까요? 젊은 세대를 포함해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는 게임에는 너프와 버프라는 개념이 존재합니다. 자신의 캐릭터가 사용하는 아이템, 무기 혹은 스킬이 강해질 때 버프라는 개념이 쓰이고, 약해질 때는 너프라는 단어가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캐릭터의 기본 능력치가 강해지는 패치가 시행된다면, 캐릭터가 '버프 먹었다'라고 유저들이 표현하곤 합니다. 너프는 원래 아이들을 위한 장난감 브랜드 이름입니다.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 소재의 가볍고 안전한 장난감을 만들어 아이들에게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그런데 이 장난감 브랜드의 사명이 왜 게임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을까요? 너프란 단어.. 2023. 2. 26. 일본과 중국의 변발머리는 왜 생겨난 것일까? 옛날 사극을 보다보면 중국과 일본에 머리를 밀고 양 옆에만 머리를 남기거나, 머리의 앞 부분을 모두 밀어 뒷부분만 남기는 특이한 헤어스타일이 등장합니다. 이러한 헤어스타일을 중국에서는 '변발'이라고 하고, 일본에서는 '촌마게'라고 하는데요, 이들은 왜 이런 특이한 머리를 하게 되었을까요? 이 두 가지 헤어스타일은 모두 전쟁과 관련이 있습니다. 변발은 중앙아시아와 동북아 북방민족의 전통 헤어스타일입니다. 물이 귀한 유목민들의 환경 특성상 머리 감기가 어려웠고, 긴 머리를 말을 타고 빠르게 달릴 때 거추장스러웠기 때문에 이런 머리를 하고 다녔습니다. 또한 식량을 얻기 위해 약탈과 전쟁이 일상이던 민족이었기에, 투구를 오래 쓰면 머리가 빨리 뜨거워졌습니다. 머리가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온 효과가 있.. 2022. 12. 2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