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6 호텔 등급(별 개수)은 누가 어떻게 정하는걸까? 관광호텔의 등급(별 개수)는 어떻게 정해질까요? 5성급 호텔은 과연 누가 심사를 할까요? 호텔의 등급은 별 개수를 통해 정해지며 공식적인 별의 개수는 1개부터 5개까지입니다. 언론이나 광고에서 말하는 6성급, 7성급 호텔은 공식적인 명칭이 아니며 광고의 일환입니다. 우리나라는 2021년부터 한국관광협회 중앙회에서 민간수탁 기관을 선정하여 등급결정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광호텔 평가를 할 때 1~3성급 호텔은 현장평가와 불시평가, 4~5성급 호텔은 현장평가와 암행평가를 진행합니다.심사의 공정성을 위해 현장평가 요원은 한국관광협회 중앙회에서, 암행평가 요원은 한국관광공사에서 선발합니다. 1~5성급 호텔이 모두 공통적으로 받는 현장평가는 사전에 평가일을 호텔에 통보한 뒤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점검을 실.. 2022. 10. 12. 호텔과 모텔의 차이(관련 법규, 기준) 길을 가다보면 정말 허름해보이는 숙박업소인데도 '000호텔' 이라는 명칭으로 장사를 하고, 이거 호텔 아니야? 할 정도의 규모와 시설인데도 '000모텔'로 운영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어떤 기준으로 호텔과 모텔이 정해지고, 신라호텔, 워커힐 호텔 등 우리가 아는 정말 좋은 호텔과 일반 호텔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1. 호텔과 모텔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호텔과 모텔의 차이는 어느 법률의 적용을 받느냐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신라호텔 등의 특급 호텔들은 관광호텔로 분류됩니다. 관광호텔은 공중위생법이 아닌 관광진흥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관광호텔이라는 상호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광진흥법에서 규정한 기준을 충족해야 하고 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욕실이나 샤워시설을 갖춘 객실을 30실 이상 갖추고 .. 2022. 10. 12. 듣고 싶은 대로 듣기, 몬더그린 현상(Mondegreen Effect) ‘The Bonny Earl of Murray(머레이의 잘생긴 백작)’이라는 스코틀랜드 노래 가사 중 ‘레이드 힘 온 더 그린(laid him on the green·그를 풀밭에 눕혔네)’이라는 대목이 있습니다. 노래를 들은 어느 미국 작가는 해당 구절을 ‘레이디 몬더그린(lady Mondegreen·몬더그린 아가씨)으로 잘못 이해했습니다. 그 작가는 특정한 발음이 듣는 사람에게 익숙한 말로 들리는 현상에 대한 책을 쓰면서 이 노래 가사를 사례로 들었습니다. 특정 문장을 자신이 아는 다른 말로 잘못 듣는 현상이 ‘몬더그린(Mondegreen) 효과’라고 불리는 것의 유래입니다. 예전 개그콘서트 프로에서 팝송 ‘All by my self’(올 바이 마이 셀프)를 ‘오빠 만세’로 바꿔서 부른 코너가 있는데 .. 2022. 10. 4. 아역 배우를 지켜주는 법, 쿠건법 재키 쿠건은 할리우드 최초의 아역 스타로서 무성영화 시대에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찰리채플린의 (1921)에서 6살의 슬픈 눈빛의 아이를 연기하여 큰 명성을 얻었죠. 몇년 후 쿠건은 자신이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없었던 어린 시절 벌어들인 400만 달러를 부모가 다 써버렸다며 소송을 제기합니다. 이 소송이 미 전역에 유명해지자, 관련 법안이 미 의회에 의해 만들어지게 되는데 그 법이 바로 아역배우 보호법 '쿠건법'입니다. 재키 쿠건의 이름 따서 만들어진 미국의 ‘쿠건법(Coogan Law)’은 아역 배우가 벌어들인 수익을 부모가 마음대로 쓰지 못하게 규제하고 있습니다. 아역 배우가 벌어들이는 전체 수익의 15%를 ‘쿠건 계정’이라는 신탁에 넣어야 하며, 아역 배우의 촬영 시간도 제한하여 부모가 타이트한 .. 2022. 10. 3. 작은 말 실수로 무너진 베를린 장벽 ■ 베를린 장벽, 사소한 말 실수로 무너지다 베를린 장벽은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을 가르고, 동독과 서독을 분단시킨 20세기 유럽 최후의 인공 장애물이었습니다. 벨른린 장벽은 동독 주민의 서독 이주를 저지했고, 서독의 민주주의가 동독으로 파급되는 것을 오랜 세월 막아왔지만 1989년 11월 9일 밤 장벽은 결국 허물어졌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거대한 국가 독일의 수도 베를린을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으로 가르던 베를린 장벽은 아이러니하게도 한 사람의 작은 말 실수로 인해 무너집니다. 동독의 신임 대변인에 의해서 말이죠. ■ 기자회견에서 시작된 베를린 장벽 붕괴 1989년 11월 9일 저녁 6시. 당시 동독 정부는 일상적으로 매일 여는 기자회견을 시작했습니다. 공산권의 붕괴가 시작되고 있던 긴박한 시국인지라 .. 2022. 9. 30. 충무로가 한국 영화의 성지가 된 이유 충무로의 기대주, 충무로의 떠오르는 샛별, 충무로에 입성하다 등등. 충무로는 한국 영화의 상징적인 곳이며, 충무로를 떠올리면 자연스럽게 한국 영화가 연상이 될 정도로 한국 영화를 대표하는 곳입니다. 그렇다면 충무로는 언제부터 한국 영하의 성지가 되었을까요? (1) 일본의 유화정책, 충무로 영화의 시작 충무로가 한국 영화의 발상지로서의 면모를 드러내기 시작한 것은 약 100년도 더 전인 1906년 경성부 진고개 부근의 '송도좌'에서 처음 영화를 상영했을 당시로 되돌아갑니다. 중구문화원에서 발간한 서적 '영화의 메카 충무로'에 따르면 이것을 시작으로 1910년 경성부 황금정(현 외환은행 본점)에 '경성고등연예관'이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한국 영화가 충무로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합니다. 물론 이것은 전두환 신군부.. 2022. 9. 20. 방문객 - 정현종 시인 방문객 정현종 사람이 온다는 건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는 그의 과거와 현재와 그리고 그의 미래와 함께 오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부서지기 쉬운 그래서 부서지기도 했을 마음이 오는 것이다---그 갈피를 아마 바람은 더듬어볼 수 있을 마음. 내 마음이 그런 바람을 흉내낸다면 필경 환대가 될 것이다. * 정현종 시집, 광휘의 속삭임, 문학과지성사, 2008. 2022. 9. 20. 가을 전어 맛있게 먹는법 (제철, 먹는법, 구별) ■ 전어가 가을에 맛있는 이유는? 전어의 계절이 돌아 왔습니다다. 전어는 서해안, 남해안에서 두루 잡히며 추석이 지나 가을이 오면 살이 오르고 맛이 최고여서 가을 전어라는 말이 아주 익숙합니다. 전어는 4~6월 사이에 알을 낳고, 그때 태어난 전어들이 여름 내내 플랑크톤과 유기물을 섭취하면서 가을까지 약 15~20cm 정도로 성장합니다. 또한 가을 철에는 추운 겨울 바다를 나기 위해 몸속에 지방을 축적하기 때문에 9~11월에는 지방함유량이 산란기 대비 3배 가량 높아지고, 뼈도 부드러워 아주 고소한 맛을 냅니다. '가을 전어는 깨가 서말'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고소함 맛을 자랑합니다. 이렇게 맛있는 전어는 성질이 급해 수족관에서 넣어놓으면 금방 죽어버립니다. 특히 활어 보관 방식이 발달하지 않았던 예.. 2022. 9. 16.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