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6

[먹자골목 시리즈] 28. 을지로 골뱅이골목 서울의 가장 힙한 곳 힙지로에는 두 가지 명물이 있습니다, 이른바 만선호프로 대표되는 을지로 노가리와 오늘 소개해드릴 을지로 골뱅이가 그 주인공입니다. 원래 을지로는 골뱅이로 더 유명했으나 2010년대 들어오며 SNS를 통해 노가리 골목이 더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 을지로는 일제강점기에는 황금정(黃金町)이라 불렸습니다. 황금정은 당시 경성의 상업 중심지였습니다, 금융기관이 있었고 각종 상회가 밀집해 있었습니다. 1970년대 고도성장이 시작되며 종로 일대의 주택이나 사무실 정비를 위해 필요한 타일과 도기, 공구, 조명 가게가 을지로에 많이 차려졌습니다. 또한 일제강점기 부터 영화관이 충무로 등 일대에 몰려있어 영화 홍보 전단 업체가 있었고, 한지 가게들도 모여있었던 터라 자연스럽게 을지로 인쇄 골목이 만.. 2022. 7. 9.
[먹자골목 시리즈] 27. 오장동 함흥냉면거리 냉면계 천하에는 절대강자 ‘평냉파’와 ‘함냉파’가 있습니다. 슴슴한 국물의 평양냉면과 매콤한 양념의 함흥냉면으로 취향이 갈리는데, 간이 세고 자극적인 맛을 좋아한다면 ‘함냉파’로 가는게 옳은 선택입니다. 함흥냉면은 북한 함흥지역에서 즐겨먹던 함경도식 국수의 변형입니다. 이북에서는 감자가 흔하고 많아 감자 녹말가루르 면을 뽑아서 '농마국수'라는 것을 많이 먹었습니다. 또한 북한은 가자미가 흔해 가자미 고명을 양념에 무처 국수 위에 고명으로 얹어 먹기도 했습니다. 6.25 전쟁이 발발하고 흥남 철수를 계기로 함경도 지방 실향민들이 서울 오장동 일대에 대거 정착했습니다. 흥남은 조선시대부터 명태 등 건어물의 주산지였으니 흥남 사람들은 서울에서도 자연스럽게 건어물 관련 일에 종사했고, 오장동에는 자연스럽게 국내.. 2022. 7. 9.
대문어와 참문어의 차이(제철, 원산지, 맛, 크기, 가격) 문어의 종류는 세계적으로 수백여가지에 이르지만 국내에서 잡히는 문어는 8~9 종류가 됩니다. 그 중에서도 우리가 식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문어는 크게 두가지 종류입니다, 대문어와 참문어죠. 대문어와 참문어는 확연히 구별되는 차이점들이 있어 크게 구별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이름 대문어(피문어) 참문어(돌문어, 왜문어) 서식지 동해 (깊은 바다) 서해, 남해 (얕은 바다) 다른 이름 물문어, 뻘문어, 피문어 돌문어, 왜문어 다리 4번째 다리가 짧다. 1번째 다리가 짧다. 제철 겨울~봄 초여름 ~ 늦가을 수명 1~5년 1년 무게 1~70kg 1~3kg 구분방법 몸통에 세로 줄무니 몸통에 다각형 줄무니 맛 부드럽고 향이 진하다 쫄깃, 탱글하지만 향이 약하다 가격 평균 1KG 4~5만원 평균 1KG 3만원 2022. 7. 4.
징기스칸의 도원결의, 발주나 맹약 세계를 지배했던 정복왕 징기스칸은 온갖 고난과 역경을 딛고 일어난 인간승리의 화신이라고 알려져있습니다. 징기스칸이 겪은 큰 사건 중 '발주나 맹약'은 징기스칸과 몽골 제국의 가장 큰 변곡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1189년 27살의 징기스칸은 옹 칸의 승인 아래 전통적인 씨족, 부족회의 쿠릴타이를 소집하여 칸의 칭호를 차지합니다. 이어 천신만고 끝에 메르키트,타이치우드족을 누르고 초원의 차기 지배자로 떠올랐습니다. 하지만 당시 초원의 최강자이자 부친의 친구인 케레이트 부족의 부족장 옹 칸은 신흥강자 징기스칸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옹 칸은 젊은 시절 부족원을 모두 잃고 징기스칸(테무진)의 아버지인 예수게이에게 도움을 받은 뒤, 의형제를 결성하여 징기스칸에게는 양아버지가 되는 사람이었으나 애초에.. 2022. 7. 4.
내로남불의 본질, 도덕적 면허 효과(Moral Licensing Effect) 사회적 가치와 CSR에 많은 투자를 하는 기업일수록 도덕적이고, 인권친화적인 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 언뜻 보기에는 당연한 명제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2013년 런던정경대학 마거릿 올미스톤과 캘리포니아주립대학 엘라니 왕이『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적 책임과 사회적 무책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왔습니다. 놀랍게도 사회적 책임에 투자를 많이 했던 기업들이 나중에는 더 무책임하고 더 비도덕적인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타인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도덕적 우월감을 가지는 '도덕적 면허 효과'는 자신이 옳고, 정의롭고, 도덕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조직에서 나타납니다. 이런 도덕적 면허 효과는 일상생활에서도 보상심리라는 형태로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합니다... 2022. 7. 1.
왜 중국인들을 짱깨라고 부를까? 반중정서가 역대 그 어느 시기때보다 높습니다. 최근 미국의 리서치 기관인 퓨리서치센터가 분석한 결과 한국의 반중정서는 2002년 31%, 2010년(56%), 2017년(61%), 2020년(75%)로 꾸준히 상승했고 2022년에는 80%를 기록했습니다. 퓨리서치센터는 한국이 이번 조사 대상 19개국 중 젊은층이 장노년층보다 중국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유일한 나라라고 진단했습니다. 기타 서구 주요국의 반중 여론도 대단합니다 일본은 무려 87% 였고 호주 86%를 포함해 미국도 82%로 모두 80%대를 넘었습니다. 한국의 반중정서는 '짱깨'라는 단어로 대변됩니다. 사실 짱깨라는 말은 원래부터 누구를 얕잡아 부르는 말은 아니었습니다. 짱깨는 ‘장꾸이’라는 말에서 시작됐습니다. 장은 원래 손바닥이라는 .. 2022. 6. 30.
양구 고등학생 군인 집단폭행 사건 2011년 3월 6일 강원도 양구군 읍내에서 외박 나온 21사단 65-1 대대(이목정대대) 소속 김 일병 등 병사 2명이 양구의 고등학생 10명에 의해 집단폭행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이후 현장 근처 CCTV 영상이 공개되었는데, 여기엔 10명의 고등학생들이 두 병사들에게 접근해 어깨를 툭 치고 갔으나 병사들이 별 반응을 보이지 않자 뒤돌아 쫓아가는 모습이 찍혔습니다. 그 이후 CCTV가 보이지 않는 곳에서 10명의 고등학생들은 2명의 병사들을 집단폭행하고 병사 중 1명은 안면 골절상을 입는 등 전치 6주의 심한 부상을 입었습니다. 이후 밝혀진 폭행 사유는 그저 군인들에게 심심풀이로 시비를 건 뒤 돈도 뜯어내기 위해서였는데, 군이나 경찰에 소속된 국가직 소속 인원이 민간인과 폭행 사건이 발생하면 여.. 2022. 6. 30.
쓰면 안되는 단어, 독고다이의 뜻과 어원 정치권에서 흔히 '독고다이'라는 말이 자주 쓰입니다. 나는 특정 계파가 아니다, 나는 내 실력을 믿는 독고다이다라는 말을 흔하게 내뱉곤 합니다. 우리가 아는 독고다이의 뜻은 독불장군, 무리에 어울리지 않는 혼자 다니는 사람,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사람 등 입니다. 그러나 독고다이의 어원은 좋지 않은 곳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독고다이의 어원은 2차대전 때 일본의 특공대(特攻隊)에서 나온 것입니다. 특공대(特攻隊)의 일본어 발음이 돗코타이(とっこうたい)이며, 국립국어원도 일본어 (特攻隊)에서 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공대의 사전적 의미는 특수한 공작을 수행하는 부대이지만, 제2차 대전 시기 일본의 특공대는 자살 특공대를 의미했습니다. 당시 일본에서 특공대는 신풍특공대( 神風特攻隊: 카미가제 도꼬다이.. 2022. 6. 30.